본문 바로가기

영화,드라마

[국제시장] 1950년대 한국전쟁이후의 모습

반응형

영화: 국제시장

주인공 덕 수의 옛 회상 장면

주인공 덕수는 옛날부터 지금까지 가족만을 위해 살아왔다. 덕수가 자기 아내인 영자에게 자신이 꿈이 무엇인지 물어본다. 영자는 모른다고 대답했다. 이내 덕수는 큰 배를 모는 선장이라고 답하며 다음 장면으로 넘어간다. 덕수의 아들과 손자들이 집에 찾아와 덕수는 손자들을 반겼다. 그러나 손자들은 덕수를 신경 쓰지 않은 채 영자에게 달려간다. 지금까지 가족을 위해 가족의 반응은 시원찮다. 덕수의 가게인 꽃분이네에 가게를 내놓으라며 사람들이 찾아온다. 하지만 덕수는 고모부터 내려온 꽃분이네를 절대 팔지 않는다며 호통을 치며 사람들을 내쫓았다. 덕수가 손자의 손을 잡고 길을 가다 지나가던 남성에게 부딪쳐 손을 놓치는 장면과 동시에 덕수의 옛 회상이 시작된다. 덕수는 어렸을 적 여동생인 막순이와 아버지와 함께 중공군을 피해 피난길에 나선다. 미 해군 수송선에 피난민을 태우기 시작한다. 사람들은 너도나도 할 것 없이 미국 해군 선에 탑승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덕수가 막순 이를 업고 배에 올라타려는 순간 누군가 막순 이를 잡아 막순이는 배에서 떨어지게 된다. 막순이가 사라졌다는 말을 들은 덕수 아버지는 막순 이를 찾으러 배에서 내린다. 이때 덕수에게 네가 장남이니 가족이 우선이니 가족을 잘 지키란 말을 남기고 다시는 돌아오지 못한다. 덕수 어머니는 자식들을 데리고 부산으로 향한다. 덕수는 학교에서 달구를 만나 친해지기 시작한다. 덕수가 고향으로 가지 못해 달고 와 베스트 프렌드가 된다. 덕수는 꿈이 있었지만 가장으로서 어린 동생들과 어머니에게 돈을 벌어다 줘야 했다. 그래서 독일로 3년간 광부 생활을 하기로 한다. 독일에서 광부 생활을 하는 덕수에게 영자가 나타난다. 덕수는 영자에게 푹 빠졌고 둘은 데이틑를 하며 즐겁게 지낸다. 어느 날 광부 일을 하던 덕수의 눈앞에 동굴이 무너지게 되어 덕수와 달구는 광산에 갇히게 된다. 이 소식을 들은 영자는 광부 담당자에게 달려가 따져보지만 돌아오는 건 차가운 반응뿐이었다. 동료 광부들이 힘을 합쳐 덕수와 달구는 구출해낸다. 덕수는 병원 침대에 누워 영자에게 자신이 비자가 끝이니 이번이 마지막이라고 말한다. 영자의 반응은 좋지 않았다. 한국으로 돌아온 덕수를 반기는 가족들이다. 며칠 뒤 영자가 덕수에게 찾아와 임신했다고 말한다. 덕수는 영자와 결혼한다. 모든 게 순탄하게 흘러갈 것처럼 보였지만 여동생의 결혼자금 부족과 꽃분이네를 운영하던 고모가 돌아가셔 꽃분이네를 인수할 돈이 부족했다. 그래서 덕수는 달구와 함께 베트남에 가기로 한다.

가족을 위한 덕수의 끊임없는 노력

여동생의 결혼자금과 꽃분이네를 인수하기 위해 베트남으로 간다. 베트남에서 폭탄이 터지면서 덕수가 초콜릿을 주었던 아이가 부상을 당했다. 밀림을 가던 중 무전으로 베트콩들이 점령했다는 메시지를 받게 된다. 베트콩들이 주위에 있어 들키지 않게 숨어 있었지만 달구에게 뱀이 다가와 달구가 소리를 질러 베트콩에게 들키고 만다. 때마침 우리나라 해병대가 나타나 베트콩들을 죽인다. 이후 마을로 들어가게 되는데 마을 사람들은 자기들을 배에 태워 달라고 부탁하지만 이미 배에는 공간이 없는 상황이었다. 어쩔 수 없이 억지로라도 마을 주민들을 태우려는 데 베트콩들의 기습으로 상황은 급박하게 흘러간다. 그러던 중 덕수가 다리에 총에 맞아 상처를 입는다. 베트남 전쟁 후 한국으로 돌아온 덕수는 여동생의 결혼자금을 마련해주고 꽃분이네를 인수하게 된다.

보고 싶었던 이와의 재회

이산가족 프로그램이 인기가 치솟는다. 덕수는 이산가족 프로그램에 지원하게 된다. 거기서 막순이는 만나게 되어 눈물을 흘리며 기뻐한다. 막순이는 미국에 입양되어 한국어를 못한다. 덕수의 어머니는 막순이와의 만남을 끝으로 숨을 거둔다. 마지막으로 덕수가 아버지의 사진을 보며 힘들다고 말하며 덕수의 아버지가 환영으로 나타나 고생했다며 영화는 끝이 나게 된다. 가장으로서 덕수가 가족을 위한 마음이 너무 절절히 느껴지는 영화였다. 마음 한편이 뭉클하다. 가장으로서의 무게감과 아버지의 책임을 이어 작지만 커다란 존재감을 지닌 아들 덕수가 아니었나 생각한다.